2024/(202410~) 글또

01. 삶의 지도(for 글또) (20240922)

gw_kim 2024. 10. 12. 17:16

지인이 글또 10기를 추전했다!

* 글또? IT종사자들의 글쓰기 커뮤니티 모임 

 

가입 요건은 '삶의 지도' 를 잘 작성해야 한다.

삶의지도… 꽤나 진지한 워딩지만,

캐주얼하게 나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글또 10기 핵심 정리

✏️ 신규 지원시 글(삶의 지도) 작성

  • 글또를 신규로 참여하는 분들은 “자신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 삶의 지도”에 대한 글을 작성해서 제출해주셔야 합니다(글또 지원 Form에 제출)
  • 삶의 지도라는 것은 제가 붙인 이름이며,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고, 어떤 사건으로 지금의 내가 되었는가에 대해 작성한 내용입니다.
    • 자신이 어린 시절부터 여태까지 어떤 시간을 보내왔는지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메타인지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 내용을 토대로 이직하실 때 이력서에도 활용할 수 있을겁니다
    • 생각하시는 과정이 어렵다면 현재 내가 가진 “역량”이 무엇인지 고민해보시고 그 역량을 어떻게 얻었는지 시간 역순으로 고민해보셔도 좋습니다
    • 형식은 자유롭게 하셔도 괜찮으나, 글로 작성 부탁드립니다
      • 글자수 제한은 없으나, 글또 지원만을 위한 목적이 아니라 자신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글을 한번 작성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보통 공백 제외 1000자는 넘어야 자신에 대해 정리했다고 생각합니다. 공백 제외 1000자는 넘게 작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 자신은 어떤 사람이고, 왜 이런 사람이 되었고, 뭘 해보고 싶고 등. 여러 내용을 담을 수 있을거에요. 메타인지를 늘릴 수 있는 글이니 이번 기회에 잘 작성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 공개된 블로그가 아닌 Google Docs, 노션 등으로 제출하셔도 괜찮습니다
    • 이미 있는 글을 공유하는 것이 아닌 글을 새로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이미 작성했던 회고가 있으시면 해당 내용을 재구성하시면 좋습니다.

 

 

일단 나를 먼저 소개하면,

1. 내 모습은?

 

제주도 최애 카페에서..(2년전)

 

5년전 우연한 계기로 가게 된 제주도 카페이고,

한적한 분위기가 좋아 제주 여행 때 마다 매번 들른다. (이번 추석에도 다녀왔어요)

2. Work & Life 어떤 성향?

Work & Life 에서 세부적인 계획을 세운 후 실행하기보다,
대략의 계획을 세운 후 일단 해보는 스타일이다. 

다만 요즘은 Work 에선 보다 세부적으로 계획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나의 Life는 

체력이 남으면 일단 집밖으로 나가고, 없으면 집 콕하는 스타일이다.

Life 성향 Chart

3. 물리학과 출신이 데이터분석을?

IT과는 아니지만, 데이터분석을 하게 되었다. 
분석 커리어를 차례로 설명하면.. 

3학년 복학 이후
장학금을 받겠다는 목표로 물리도 재밌게 공부했지만,

공부를 할 수록 내 이름으로 Insight를 내기 위해 최소 박사급은 되야한다고 느끼던 찰나.. 

3학년 2학기

연구실 친구의 권유로 데이터분석 입문하게 되었다.

이때 처음 경험한 프로젝트가 재밌어서, 직업으로 삼게 되었다. 

거래정보로 고객 유형화 하고, 타겟 마케팅 했더니 매출이 증대 되었다.
복잡한 수식을 거치치 않더라도, 매출이 향상 될 수 있다니… 재밌었다. (첫 인사이트 경험)


4학년 전체 

본격적으로 직업으로 삼기 위해, 
부트캠프, 스타트업 인턴을 하며 실력을 쌓았다. 

이때 좋은 실력자를 많이 만나며,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졸업 후, 

NICE에 입사하여, 정식 분석 커리어를 쌓기 시작했다. 

 

입사 ~ 2년 차 

전처리 위주의 업무로 hard skill을 향상 시켰고, 

운좋게 대시보드 프로젝트를 맡으며, 시각화 역량도 쌓았다. 

 

3년 ~ 4년 차 

그룹 DT추진을 위해,
서비스 기획,분석 업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하였고, 

메인 프로젝트를 맡으며, 다양한 직무의 경험을 넑고 얇게 경험해보았다. (DA뿐 아니라, PM , 서비스 기획, 제안서 작성)
그룹 내 동료,선임을 보며 많은 자극을 받은 시기였다. 

*DT : 디지털 전환 , NICE에서도 Data기반 트렌드가 강하게 불었다.  

 

4. 어떤 분석을 하고 싶나?

NICE에서 B2B 컨설팅 개념으로 타 회사의 DT서비스를 만들어주며,
있어보이는 인사이트 보다 간단한 추출이더라도 고객이 궁금해하는 현황 공유가 더 중요하다고 느꼈다.

 

고객의 실시간 니즈를 파악하고, 

빠른 속도로 자사 서비스를 분석하는 인하우스 분석가로서 일하고 싶다는 갈망 생겼고, 

 

운이 좋게, 
내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 금융(진) 회사로 이직 하게 되었다. 

5. 2024년 9월 현재 목표는?

이직 5개월차, 다시 신입이 된 기분이다.

 

매일 새로운 이슈가 생기고,
파악 해야 할 DB는 많고, 

이 업계의 속도감에 익숙해지는 중이다.

부서 내 유일한 데이터분서가로서 아래 우선 순위로 1년을 잘 버티는게 목표이다. 

0순위 : 도메인 적응 → 중요/안중요 내용 파악
1순위 : 현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
2순위 : 설득력 있는 Action 제시

 

1년뒤, 또 다른 목표가 생길 것이고, 이를 이루기 위해 달려 갈 것이다.
40살까지 100점을 목표로 달리고 싶다.

 

현재 60점 정도 되는 것 같다,   →  25.03.22 지금 생각하니, 45점 정도 되는 것 같다. 
40살까지 100점이 되기 위해 달려가야지.

 

 

(2025.03.22) 작년 9월 글을 지금 다시보니 중구난방이라, 글을 좀 다듬었다.